다음은 2018년에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등이 참가한 아랍학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아랍어 한글 표기법 권고안으로 기존의 국어원 시안에서 수정한 부분을 빨간색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는 2018년 9월 5일 국립국어원에서 전자우편으로 받은 내용을 따른 것으로 학회 권고안에 따라 국어원 시안을 수정한 것은 학회에서 준비한 것인지, 아니면 학회에서 다른 형식으로 권고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어원에서 준비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여기서는 참고의 목적으로만 소개하며 실제 표기의 목적으로는 문어체 아랍어의 한글 표기 권고안을 따를 것을 권장한다.
Contents
아랍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학회 권고안)
자음
로마자 | 아랍어 자모 | 한글: 모음 앞 | 한글: 자음 앞·어말 | 보기 |
---|---|---|---|---|
ʔ | أ | — | 으, 으 | ʔab 압, muʔmin 무으민, badʔ 바드으 |
b | ب | ㅂ | 브, ㅂ | bāb 밥, sabʕah 사브아, ʕAbdullah 압둘라, kitāb 키탑, dubb 둡브 |
t | ت | ㅌ | 트, (ㅅ)* | tamr 타므르, sitr 시트르, ʔist 이스트, bayt 바이트, battār 밧타르 |
th/ṯ | ث | ㅅ | 스, (ㅅ) | thalj 살즈, ʔithnān 이스난, ḥadath 하다스, mumaththil 무맛실 |
j** | ج | ㅈ | 즈, (ㅅ) | jamāl 자말, rijl 리즐, burj 부르즈, fajj 팟즈 |
ḥ | ح | ㅎ | 흐 | ḥadīth 하디스, baḥr 바흐르, milḥ 밀흐 |
kh/x | خ | ㅋ | 크, (ㄱ) | khalīfah 칼리파, fakhr 파크르, shaykh 샤이크, mukhkh 묵크 |
d | د | ㄷ | 드, (ㅅ) | dirham 디르함, badr 바드르, Muḥammad 무함마드, Ṣaddām 쌋담 |
dh/ḏ | ذ | ㄷ | 드, (ㅅ) | dhahab 다합, madhhab 마드합, ʔustādh 우스타드, taḥadhdhur 타핫두르 |
r | ر | ㄹ | 르 | risālah 리살라, dars 다르스, sidr 시드르, marrah 마르라 |
z | ز | ㅈ | 즈, (ㅅ) | zamīl 자밀, ʔAzhar 아즈하르, ʔarz 아르즈, ruzz 룻즈, ghazzāl 갓잘 |
s | س | ㅅ | 스, (ㅅ) | safar 사파르, nasr 나스르, turs 투르스, mufassir 무팟시르 |
sh/š | ش | 시*** | 슈, 시, (ㅅ) | shams 샴스, mushṭ 무슈뜨, mishmish 미슈미시, mubashshir 무밧시르 |
ṣ | ص | ㅆ | 쓰, (ㅅ) | ṣabāḥ 싸바흐, al Baṣrah 바쓰라, qaṣṣāṣ 깟싸쓰 |
ḍ | ض | ㄷ | 드, (ㅅ) | ḍirs 디르스, maḍbūṭ 마드부뜨, ʔarḍ 아르드, fiḍḍah 핏다 |
ṭ | ط | ㄸ | 뜨, (ㅅ) | ṭabl 따블, maṭbakh 마뜨바크, sharṭ 샤르뜨, baṭṭah 밧따 |
ẓ | ظ | ㅈ | 즈, (ㅅ) | ẓarf 자르프, maẓhar 마즈하르, ḥifẓ 히프드, ḥaẓẓ 핫즈 |
ʕ | ع | 으 | 으 | ʕaṣr 아쓰르, biḍʕah 비드아, shaʕb 샤읍, ḍilʕ 딜으 |
gh/ġ | غ | ㄱ | 그, (ㄱ) | ghurfah 구르파, al Maghrib 마그립, ṣamgh 쌈그, shaghghāl 샥갈 |
f | ف | ㅍ | 프, (ㅂ) | fatḥ 파트흐, nafs 나프스, kashf 카슈프, raff 랍프 |
q | ق | ㄲ | 끄, (ㄱ) | qaṣr 까쓰르, naqṣ 나끄쓰, ṣadīq 싸디끄, ar Raqqah 락까 |
k | ك | ㅋ | 크, (ㄱ) | kitāb 키탑, maktab 마크탑, Mubārak 무바라크, shakk 샥크 |
l | ل | ㄹ, ㄹㄹ | ㄹ | laḥm 라흠, salām 살람, ʕAbdulʕazīz 압둘아지즈, silm 실므, sahl 사흘 |
m | م | ㅁ | ㅁ, 므 | al Masīḥ 마시흐, dirham 디르함, ʕamr 아므르, ʔamn 아믄, ʔumm 움므 |
n | ن | ㄴ | ㄴ, (느) | naḥl 나흘, ʔinsān 인산, fann 판느 |
h | ه | ㅎ | 흐, — | haram 하람, nahr 나흐르, fiqh 피끄흐, fiḍḍah 핏다 |
w | و | 우 | 우 | ward 와르드, wilāyah 윌라야, badw 바드우 |
y | ي | 이 | 이 | yad 야드, Yuḥannā 유한나, wakhy 와크이 |
모음
로마자 | 아랍어 자모 | 한글 | 보기 |
---|---|---|---|
a, ā | ـَا ,ـَ | 아 | ʔadab 아답, ʔākhir 아키르 |
i, ī | ـِي ,ـِ | 이 | ʔist 이스트, ṣadīq 싸디끄 |
u, ū | ـُو ,ـُ | 우 | ʔusrah 우스라, suhūl 수훌 |
ay**** | ـَيْ | 아이 | sayf 사이프 |
aw**** | ـَوْ | 아우 | yawm 야움, law 라우 |
*** sh/š의 ‘시’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음절로 적는다.
표기 세칙(학회 권고안)
제1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 첫 자음은 앞 음절의 받침으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rr-의 첫 자음은 ‘르’로 적는다. 다만, ʔ(أ), ḥ(ح), ʕ(ع), h(ه)는 겹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적는다.(삭제하고 모든 자음에 앞의 원칙 적용)
- ʕAbbās 압바스
- taqaddum 타깟둠
- ruzz 룻즈
- ʔumm 움므
- fann 판느
- marrah 마르라
- Wahhābī 와흐하비
- Naḥḥās 나흐하스
제2항 ʔ(أ)
자음 앞에서는 ‘으’로 적고, 어말에서는 표기하지 않는다.어말에서도 ‘으’로 표기한다.
- muʔmin 무으민
- badʔ 바드으
제3항 b(ب)
d(د), t(ت), s(س)를 제외한 자음 앞에서는 ‘브’로 적고, d, t, s 앞과 어말에서는 ‘ㅂ’으로 적는다. 다만 -bb-의 경우는 표기 세칙 제1항을 따라 적는다. 겹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적는다.
- sabʕah 사브아
- ʕAbdullah 압둘라
- maktab 마크탑
- dubb 둡브
제4항 sh/š(ش)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고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다만, -shsh-의 경우는 표기 세칙 제1항을 따라 적는다.
- khashm 카슘
- Jarash 자라시
- mishmish 미슈미시
- mubashshir 무밧시르
제5항 l(ل)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ṭālib 딸립
- sāʕah ramlīyah 사아 라믈리야
제6항 m(م)
m은 ‘ㅁ’으로 적되, -mn, -ml, -mr, -lm의 m은 ‘므’로 적는다.
- shams 샴스
- dirham 디르함
- ʔamn 아믄
- raml 라믈
- tamr 타므르
- ḥulm 훌므
제7항 h(ه)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 ‘흐’로 적되, 어말에서 a 다음에 올 경우에는 표기하지 않는다.
- nahr 나흐르
- fiqh 피끄흐
- ghurfah 구르파
- risālah 리살라
제8항 w(و), y(ي)
1. 모음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dawām 다왐
- ar Riyāḍ 리야드
2.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는 앞의 자음과 갈라 적고 뒤의 모음과 합쳐 적는다. 어말에서 자음 뒤에 올 때에는 앞의 자음과 갈라 적는다.
- ʔAswān 아스완
- ʔabyaḍ 아브야드
- badw 바드우
- wakhy 와크이
제9항
고유 명사의 관사 al 및 al의 변화형 at, ath, ad, adh, ar, az, as, ash, aṣ, aḍ, aṭ, aẓ, an은 한글로 옮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관용적으로 관사가 있는 형태로 굳어진 단어와 관사가 구의 중간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그 관사를 한글로 적되, al은 ‘알’, ar는 ‘아르’, an은 ‘안’으로 그 외는 ‘앗’으로 적는다.모두 ‘알’로 적는다.
- al Baṣrah 바스라
- ar Raqqah 락까
- al Jazīrah 알자지라
- ar Rubʕ al Khālī 룹알칼리